안녕하세요 갤럭시입니다. 전일 양봉이 나타나면서 시장에 조금이나마 활기가 돌고 있습니다. 오늘도 언제나처럼 최대한 알기 쉽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일봉 기준)
1. 29일의 양봉은 28일의 음봉을 장악하는 상승장악형 양봉으로, 이는 캔들해석에 있어서 매도 세력의 물량 털기를 매수 세력이 다 받아 올린 것으로 하락추세의 종료를 의미하는 캔들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근래 하락 추세 중 일봉상에서 최초로 나타난 상승장악형 캔들이라 더욱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금일의 캔들이 $7,700 이상에서 마감이 된다면 더욱 긍정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보여집니다.
2. 다만 2월 6일 추세전환 / 4월 12일 추세전환 시점과 비교해보면 거래량이 현저히 부족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 번 갖춰진 차트와 이평선들간의 역배열, 수많은 저항선들을 돌파하기 위해선 더 큰 거래량이 뒷받침돼야만 합니다.

(4h 기준)
3. 4시간봉에서의 상승 다이버전스에 힘입어 어느정도 상승이 나타났으며 20 EMA 돌파 후 현재 50 EMA 저항에 부딪힌 상황입니다. 바로 위에는 $7,700 저항매물대와 일목구름이 버티고 있어서 단번에 돌파하기란 쉽지만은 않아 보입니다. 조정이 올 경우 공격적인 트레이더의 경우 하락조정시 $7,370 부근에서 20 EMA 지지를 믿고 매수할 수 있을 것이며, 조금 더 보수적인 트레이더일 경우 평단가는 높아질지라도 50 EMA 돌파를 기다릴 수 있겠습니다.
※ EMA : 지수 이동평균선, MA : 이동평균선

(1h 기준)
4. 1시간 봉의 경우 RSI 에서의 하락 다이버전스 / 200 EMA, 200 MA 저항레벨 등이 작용하여 현재 조정 중입니다. 4시간 봉과 마찬가지로 하락 조정이 온다면 120 EMA 지지 또는 50 EMA 지지를 믿고 매수해 볼 수 있으며, 보수적인 관점에서는 200 EMA, 200 MA 저항레벨 돌파를 확인하고 진입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많은 트레이더들이 기다린 $6,800 자리는 우선 오지 않고 반등해버린 상황입니다. 이런 상황은 과거에도 자주 연출됐으며 혹여나 자신이 원하는 최저점에서 매수하지 못했다고 성급해하거나 억울해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오히려 지지레벨 확인하고 안전하게 들어가는 것이 심리적으로는 더 건강한 매매가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또한 일봉상의 차트에서 보시면 5월 5일 부터 시작된 하락장에서 정말 조그만한 양봉이 나타난 상황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절대 안심하지 마시고 1h , 4h 에 작도해 놓은 이평선 및 지지선을 참고하여 매매에 임해주시기 바랍니다.
해당 포스팅이 여러분의 투자에 도움이 되었다면 '좋아요'(👍) 및 '팔로우'(★) 부탁드립니다.^^
(1일봉 기준)
1. 29일의 양봉은 28일의 음봉을 장악하는 상승장악형 양봉으로, 이는 캔들해석에 있어서 매도 세력의 물량 털기를 매수 세력이 다 받아 올린 것으로 하락추세의 종료를 의미하는 캔들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근래 하락 추세 중 일봉상에서 최초로 나타난 상승장악형 캔들이라 더욱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금일의 캔들이 $7,700 이상에서 마감이 된다면 더욱 긍정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보여집니다.
2. 다만 2월 6일 추세전환 / 4월 12일 추세전환 시점과 비교해보면 거래량이 현저히 부족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 번 갖춰진 차트와 이평선들간의 역배열, 수많은 저항선들을 돌파하기 위해선 더 큰 거래량이 뒷받침돼야만 합니다.
(4h 기준)
3. 4시간봉에서의 상승 다이버전스에 힘입어 어느정도 상승이 나타났으며 20 EMA 돌파 후 현재 50 EMA 저항에 부딪힌 상황입니다. 바로 위에는 $7,700 저항매물대와 일목구름이 버티고 있어서 단번에 돌파하기란 쉽지만은 않아 보입니다. 조정이 올 경우 공격적인 트레이더의 경우 하락조정시 $7,370 부근에서 20 EMA 지지를 믿고 매수할 수 있을 것이며, 조금 더 보수적인 트레이더일 경우 평단가는 높아질지라도 50 EMA 돌파를 기다릴 수 있겠습니다.
※ EMA : 지수 이동평균선, MA : 이동평균선
(1h 기준)
4. 1시간 봉의 경우 RSI 에서의 하락 다이버전스 / 200 EMA, 200 MA 저항레벨 등이 작용하여 현재 조정 중입니다. 4시간 봉과 마찬가지로 하락 조정이 온다면 120 EMA 지지 또는 50 EMA 지지를 믿고 매수해 볼 수 있으며, 보수적인 관점에서는 200 EMA, 200 MA 저항레벨 돌파를 확인하고 진입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많은 트레이더들이 기다린 $6,800 자리는 우선 오지 않고 반등해버린 상황입니다. 이런 상황은 과거에도 자주 연출됐으며 혹여나 자신이 원하는 최저점에서 매수하지 못했다고 성급해하거나 억울해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오히려 지지레벨 확인하고 안전하게 들어가는 것이 심리적으로는 더 건강한 매매가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또한 일봉상의 차트에서 보시면 5월 5일 부터 시작된 하락장에서 정말 조그만한 양봉이 나타난 상황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절대 안심하지 마시고 1h , 4h 에 작도해 놓은 이평선 및 지지선을 참고하여 매매에 임해주시기 바랍니다.
해당 포스팅이 여러분의 투자에 도움이 되었다면 '좋아요'(👍) 및 '팔로우'(★) 부탁드립니다.^^
Feragatname
Bilgiler ve yayınlar, TradingView tarafından sağlanan veya onaylanan finansal, yatırım, işlem veya diğer türden tavsiye veya tavsiyeler anlamına gelmez ve teşkil etmez. Kullanım Şartları'nda daha fazlasını okuyun.
Feragatname
Bilgiler ve yayınlar, TradingView tarafından sağlanan veya onaylanan finansal, yatırım, işlem veya diğer türden tavsiye veya tavsiyeler anlamına gelmez ve teşkil etmez. Kullanım Şartları'nda daha fazlasını okuy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