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히 다른 오써분들 의견과 차별성은 없어서 코멘트만 올리려다가, 내용이 길어져서 따로 퍼블리쉬 합니다.
0.
일단 오늘 새벽반등은 볼륨수준에서 진바닥은 아니라고 생각중입니다.
.
(이전 LL과 비교하여 두드러지는 거래량은 없음. 오히려 전반적으로는 거래량이 줄어드는 중이라 볼 여지가 있음.)
1. Entry



해당 가격대 (6.6K부근)가 온다면 숏진입을 추가로 할 예정입니다. 다만 일본차트와 알트를 주시해야 함.
이번 하락파동에서 숏을 잡기 전에 6.9K 가격대를 기다리고 있었으나 차트적으로는 빗플FX차트의 추세선 저항을 맞느라 6.9에 도달하지 않음.
- 아래는 빗플 FXBTC - 추세선저항.

고점부근비트 횡보시는 알트가격도 주시해야 함. 이번 하락이 있기 전에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 캐쉬에서 먼저 징후가 있었고, (리플 삼각수렴 이탈을 보고 비트 저배숏을 들어감) 이오스에서 대량매도가 발생.
최근에 알트먼저 빠지는 패턴이 자주 발생.
2. Close
숏 청산가는 트뷰의 모 탐욕왕과 마찬가지로 2가지 후보군 : 5.4~5.5K와 4.8~5.0K 부근으로 보는 중. 물론 나쁜경우로 4.4~4.6 까지도 볼 수 있습니다.
4.9는 황소의 보루까지 하락을 한다는 가정 하의 시나리오이고, 간다면 기존 하락채널을 더욱 강하게 이탈하는 모습이 나오지 않을까

5.4~5.5시나리오는 파동관점에서 접근을 하였을 때인데, triple three 구조의 하락파동에서 z는 어디서 끝날 것인가? 로 본다면 파동 z의 (a)파동과 (c)파동의 길이를 같다고 가정을 한다면 저정도 가격대가 나오지 않을까
물론 파동은 다르게 해석할 여지도 많음.
그렇다면 종합적으로 어디서 청산을 하는것이 바람직 한가? 하면 저는 5.5에서 청산 후 no position, 4.9도달시 레버리지 슬라이드를 건드리며 롱을 들어갈 것 같습니다. 물론 5.5에서 1배숏으로 전환, 이후 관망의 방법도 있습니다. 리스크는 제일 적음.
3.
추가로, 오래 전 계획이지만,
이전에 7.6에서 숏을 잡을때부터 보던 계획은 4.8은 그리 빨리 도달하는 가격대가 아니었음.

상세하게는 이런 그림이 나올 지 않을까 생각중.
계속 XAUUSD 차트를 cheat sheet으로 사용중입니다. 당연히 똑같이 가진 않을 것이나 유사한 구조를 참고할 수 있음.

0.
일단 오늘 새벽반등은 볼륨수준에서 진바닥은 아니라고 생각중입니다.
.
(이전 LL과 비교하여 두드러지는 거래량은 없음. 오히려 전반적으로는 거래량이 줄어드는 중이라 볼 여지가 있음.)
1. Entry
해당 가격대 (6.6K부근)가 온다면 숏진입을 추가로 할 예정입니다. 다만 일본차트와 알트를 주시해야 함.
이번 하락파동에서 숏을 잡기 전에 6.9K 가격대를 기다리고 있었으나 차트적으로는 빗플FX차트의 추세선 저항을 맞느라 6.9에 도달하지 않음.
- 아래는 빗플 FXBTC - 추세선저항.
고점부근비트 횡보시는 알트가격도 주시해야 함. 이번 하락이 있기 전에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 캐쉬에서 먼저 징후가 있었고, (리플 삼각수렴 이탈을 보고 비트 저배숏을 들어감) 이오스에서 대량매도가 발생.
최근에 알트먼저 빠지는 패턴이 자주 발생.
2. Close
숏 청산가는 트뷰의 모 탐욕왕과 마찬가지로 2가지 후보군 : 5.4~5.5K와 4.8~5.0K 부근으로 보는 중. 물론 나쁜경우로 4.4~4.6 까지도 볼 수 있습니다.
4.9는 황소의 보루까지 하락을 한다는 가정 하의 시나리오이고, 간다면 기존 하락채널을 더욱 강하게 이탈하는 모습이 나오지 않을까
5.4~5.5시나리오는 파동관점에서 접근을 하였을 때인데, triple three 구조의 하락파동에서 z는 어디서 끝날 것인가? 로 본다면 파동 z의 (a)파동과 (c)파동의 길이를 같다고 가정을 한다면 저정도 가격대가 나오지 않을까
그렇다면 종합적으로 어디서 청산을 하는것이 바람직 한가? 하면 저는 5.5에서 청산 후 no position, 4.9도달시 레버리지 슬라이드를 건드리며 롱을 들어갈 것 같습니다. 물론 5.5에서 1배숏으로 전환, 이후 관망의 방법도 있습니다. 리스크는 제일 적음.
3.
추가로, 오래 전 계획이지만,
이전에 7.6에서 숏을 잡을때부터 보던 계획은 4.8은 그리 빨리 도달하는 가격대가 아니었음.

상세하게는 이런 그림이 나올 지 않을까 생각중.
계속 XAUUSD 차트를 cheat sheet으로 사용중입니다. 당연히 똑같이 가진 않을 것이나 유사한 구조를 참고할 수 있음.
Not
비트는.. 결국 시간만 보내고 있군요. 또 알트분석밖에 할 게 없습니다. ㅋㅋ이더리움에서 새로운 하락파동이 하나 그려졌습니다. 파동의 시작점을 넘는다면(480달러부근) 이전 상위파동의 5파동이었다. 라고 해석을 할 예정이고, 재차 저점을 이탈한다면 새로운 상위파동의 3파동이다. 라고 해석해보려 합니다.
기축이 아닌데 파동을 대입하는 것이 옳은가는 확신이 안듭니다.
아무튼 이더가 제일 문제아녀석입니다.
나머지 EOS, 리플은 삼각수렴같고, 이탈방향이 어느정도 영향을 주지 않을까.
일본차트를 보고 매매를 한다면 현재 열심히 지지하는 68만엔라인이 뚤렸을 때 단타 숏을 집어넣을 수 있습니다. breakout 진입은 손절폭이 커지므로 저배율로 넣는게 좋겠죠? 저번처럼 꼬리달고 살살 오르는경우도 많구요.
또한 다음 지지레벨에서 하모닉 패턴에 따른 매수진입을 해 볼 수 있습니다. 달러차트도 비슷하게 가지 않을까 싶습니다.
양 쪽 모두 분할 청산 이후 본절가 stop loss, 단기 추세로 가져갈 부분이 있어 보입니다.
Not
정정: 새로운 상위파동의 3파 -> 새로운 상위파동의 1파İlgili yayınlar
Feragatname
Bilgiler ve yayınlar, TradingView tarafından sağlanan veya onaylanan finansal, yatırım, işlem veya diğer türden tavsiye veya tavsiyeler anlamına gelmez ve teşkil etmez. Kullanım Şartları'nda daha fazlasını okuyun.
İlgili yayınlar
Feragatname
Bilgiler ve yayınlar, TradingView tarafından sağlanan veya onaylanan finansal, yatırım, işlem veya diğer türden tavsiye veya tavsiyeler anlamına gelmez ve teşkil etmez. Kullanım Şartları'nda daha fazlasını okuyun.